'동창 채용' 이정선 광주교육감 책임론·검찰수사 촉구 목소리(종합)
광주 교원·시민단체들 잇따라 입장 내고 이 교육감 '정조준'
이정선 광주시교육감 고교 동창 감사관 채용 비위 의혹과 관련해 광주시교육청 전 인사팀장 A씨가 구속된 것과 관련해 광주지역 교원·시민교육단체들이이 교육감의 사과와 검찰의 강력한 수사를 촉구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21일 낸 보도자료에서 "교육청 내 인사 비리 의혹이 밝혀지고 공정하고 투명한 교육 행정이 확립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시민모임은 "구속된 A씨는 이 교육감이 광주교대 총장 시절부터 친분을 유지해온 인물로 이번 사건 관련 징계도 정직 1개월에 그쳤고 비리 확인 이후에도 직위해제 예외, 징계 시기 보류, 미심쩍은 인사이동, 가벼운 징계 수위 등의 방식으로 보호받았다"며 A씨뿐만 아니라 관련자 모두 법적 책임을 지도록 검찰에 강력한 수사를 촉구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광주지부도 이날 관련 성명을 내고 "늦은 감이 있지만 A씨 구속은 적절한 조치"라며 "인사 의혹을 바로잡는 계기가 되리라 믿는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 교육감의 고교 동창생을 점수 조작을 통해 교육청 감사관으로 채용한 것은 A씨 혼자 주도했을 리 없다"며 이 교육감에 대해서도 관련 내용을 스스로 밝히는 책임감 있는 태도를 요구했다
광주교사노조도 이날 이 교육감의 사과를 요구하고 "사무관 한명 구속하고 꼬리 자르기로 사건을 끝맺는다면 검찰에 비난이 쏟아질 것이다"며 "결재 라인에 있던 총무과장·행정국장·부교육감·교육감까지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지난 20일 시교육청 사무관 전 인사팀장 A씨를 구속했다. A씨는 2022년 이 교육감의 고교동창생을 시교육청 감사관으로 채용하는 과정에서 점수 조작 비리에 관여한 혐의로 감사원 감사와 경찰 수사 등을 거쳐 정직 1개월의 징계를 받았으며 최근 검찰 재조사가 시작됐다.
광주시교육청이 채용한 유병길 감사관은 면접 점수가 높게 수정됐던 후보자인데, 그는 이정선 교육감의 고교 동창이다.
유 당시 감사관은 감사원과 교육부 출신이 아닌 선관위 출신이다.
따라서 당시 선관위 출신이 시교육청 감사관에 낙점된 데 대해 교육청 안팎에서는 의문이 일었다. 이 교육감과 유 당시 감사관은 친분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기도 했다.
유 감사관은 논란이 커지는 와중에 임기를 약 7개월만 채우고 건강상 이유로 사직했다.
이에 따라 지역 교육단체들은 교육청 인사 결재 체계에 속한 윗선의 관여 여부도 수사해달라며 고발장을 제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