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 유가족들과 강기정 광주시장은 21일 전일빌딩245 합동분향소에서 마지막 합동참배를 하며 희생자들을 추모했다.
광주시는 이날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전일빌딩245 1층에 마련한 광주 합동분향소 운영을 종료했다.
합동분향소 종료는 희생자 유가족 대표와 협의해 이뤄졌다.
광주시는 또 누리집(홈페이지)에 개설한 '온라인 분향소'도 이날 함께 종료했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는 5‧18민주광장에 마련돼 2024년 12월 30일부터 지난 1월 4일까지 운영했으며, 1월 5일부터는 인근 전일빌딩245 1층 실내로 옮겨 48일동안 운영했다.
2곳의 합동분향소에는 총 2만9천27명의 참배객들이 찾아 희생자들을 추모했다.
온라인 분향소에는 7천94명이 헌화하고, 4천375명이 추모글을 남겨 희생자들을 기렸다.
광주시는 이날 합동분향소 종료를 앞두고 마지막 합동참배를 거행했다.
합동참배에는 강기정 시장, 박한신 유가족협의회 대표와 유가족들, 박미경 광주시민단체협의회 상임대표, 정영일 광주NGO시민재단 이사장, 이상갑 문화경제부시장, 공직자 등이 참석했다.
박한신 유가족 대표는 "유가족들은 서로를 돌보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새로운 준비를 하고 있다"며 "분향소를 운영하고 도움 주신 공직자와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에게 진심으로 다시 한 번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유가족들과 함께 분향소에서 마지막 인사를 드리게 됐다"며 "아픔을 함께 나눠준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린다. 앞으로 참사 원인규명, 유가족 심리치유 등 많은 과제가 남아있는 만큼 지금처럼 마음 모아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합동분향소 운영에 함께한 광주시자원봉사센터 자원봉사자들과 시민사회단체에도 감사를 전했다.
광주시는 앞으로 유가족‧시민 등 피해자들의 심리 안정‧치유를 위한 자조공간이자 일상회복 지원 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후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피해지원 특별법'이 제정돼 지원 근거가 마련되면 '1229 마음센터'를 건립, 종합적 재난 심리 지원이 가능한 종합플랫폼으로 기능을 확대할 방침이다.